지난 몇 년간 대한민국은 정치적 격랑을 겪었습니다. 대통령 탄핵이라는 역사적 사건은 국민의 신뢰가 무너진 사회, 책임을 회피한 권력, 도덕성을 상실한 리더십이 초래한 결과였습니다. 이 격변의 중심에서 국민들은 묻기 시작했습니다. “우리는 누구를 믿고 따라가야 하는가?” 그 질문에 답을 줄 수 있는 인물이 바로 다큐멘터리 「어른 김장하」에 등장하는 진정한 어른, 김장하 선생입니다.
탄핵 사태가 드러낸 리더십의 빈자리
대통령 탄핵은 단순한 정치 이벤트가 아니라, 사회 전체의 윤리 기준이 무너졌다는 경고였습니다. 공공의 권력을 사유화하고, 개인의 이익을 위해 국가 시스템을 이용했던 현실은 대한민국의 민주주의가 얼마나 취약한가를 드러냈습니다. 국민은 배신감을 느꼈고, 사회적 분열은 극에 달했습니다.
이러한 혼란 속에서 우리는 새로운 질문을 던져야 합니다. “과연 진짜 리더란 누구인가?” 권력을 쥐는 자가 아닌, 책임을 지는 사람, 말보다 행동으로 신뢰를 주는 사람. 바로 그런 사람이 필요했던 순간, 김장하 선생의 삶이 재조명된 것은 결코 우연이 아닙니다.
어른 김장하, 말없이 행동한 리더십
김장하 선생은 대통령도, 고위 관료도 아니었습니다. 그러나 한 사람의 시민으로서, 누구보다 더 큰 영향력을 가진 사람이었습니다. 30억 원 이상을 기부하고, 1,000명 넘는 학생들에게 장학금을 지급했으며, 낡은 집에서 검소하게 살아가며 철저히 사익을 배제한 삶을 실천했습니다.
그가 상을 거절하며 했던 말은 간결하지만 깊은 울림을 줍니다. “줬으면 그만이지.” 대가를 바라지 않고, 포장하지 않는 순수한 나눔의 철학은 오늘날 권력자들에게는 결코 찾아볼 수 없는 품격입니다.
지금 대한민국에 필요한 것: 도덕적 리더십
- 신뢰 회복: 국민의 마음은 상처받았습니다. 김장하 선생처럼 삶으로 신뢰를 쌓는 지도자가 필요합니다.
- 투명한 행동: 말이 아닌 행동으로, 정직함을 증명해야 합니다. 선생은 언론의 조명조차 거부했습니다.
- 공공의식: 김장하 선생은 지역사회와 공동체를 위한 헌신의 상징입니다. 정치 또한 공공을 위한 것이 되어야 합니다.
- 검소함과 절제: 보여주기식 행보보다 실제 삶의 방식에서 진정성을 드러내는 리더가 필요합니다.
‘어른 없는 사회’에서 우리가 만들어야 할 방향
대통령 탄핵은 끝이 아니라 시작이어야 합니다. 우리 사회가 다시 일어서기 위해선, 김장하 선생처럼 책임을 다하고, 조용히 실천하는 어른의 문화가 뿌리내려야 합니다. 정치인이든, 기업인이든, 교사든, 부모든 ‘어른’이라는 이름에 걸맞은 품성과 윤리가 필요한 시기입니다.
이제는 물어야 합니다. “우리는 어떤 어른을 원하는가?” 그리고 답해야 합니다. “김장하처럼 살아가는 어른이 되자.” 이것이야말로 대한민국이 다시 신뢰와 품격을 회복할 수 있는 유일한 길입니다.